홈 > 장애인 > 장애인
장애인

장애인, 게임도 하고 그림도 그린다.

최고관리자 0 7720

장애인, 게임도 하고 그림도 그린다. 
- 장애인의 제안으로 시작된 보조기기 연구개발, 산업화로 이어져
-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을 통해, 게임접근성 보조기기,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기술이전 2건 실시 


그림입니다. 원본 그림의 이름: 휠체어를 이용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사진.JPG 원본 그림의 크기: 가로 985pixel, 세로 707pixel 그림입니다. 원본 그림의 이름: 그림그리기 캡처.JPG 원본 그림의 크기: 가로 826pixel, 세로 508pixel


  국립재활원(원장 강윤규)은 노인․장애인 보조기기개발연구사업단의 열린플랫폼에서 개발된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장치(이하 ’게임 보조기기’)와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(이하 ‘그림그리기 보조기기’)가 기술이전으로 제품화‧산업화되어 장애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.

 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보조기기 열린플랫폼*에 장애인들의 여가 생활 관련 보조기기 개발수요가 많이 신청되었다. 게임 컨트롤러는 대부분 비장애인용으로 많은 중증장애인들이 게임 정보와 보조기기 개발을 요구(2021년 수요 공모 선정)하였다. 이에 중증장애인이 다양한 게임기(콘솔 게임들)를 사용하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게임 설정 안내서* 『누구나 게임을 할 수 있다』를 발간(2021년)하였고 장애인에게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『게임 접근성 컨트롤러*』를 개발(2021년)하였다.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며 2023년 국립현대미술관 전시『게임사회』에서 게임 보조기기를 전시하였고, 카카오게임즈에서 게임 보조기기 지원사업으로 게임 보조기기들을 보급하고 있다. 

 ※  보조기기 열린플랫폼: 보건복지구 연구개발(R&D)사업인 『노인·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(’20∼’23)』의 일환으로 구축되어,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요 발굴부터 개발성과 공유, 상용화를 돕기 위한 플랫폼
 ※ 『누구나 게임을 할 수 있다』: 2022년 국립재활원 발간서, 장애인의 게임 보조기기 개발 및 활용 매뉴얼
 ※ 『게임 접근성 컨트롤러』: 2021년 국립재활원 개발 및 특허출원

  『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*』는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문화․예술 활동으로 휠체어를 타고 그림그리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(2021년)되었다. 물감과 붓이 장착된 보조기기를 휠체어에 부착하고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어, 단순한 그림그리기 활동을 넘어서 역동적인 퍼포먼스로 활용 가능하며 휠체어를 이용한 문화·예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여가활동의 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.
 ※ 『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』: 2021년 국립재활원 개발 및 특허출원
  사용자가 보조기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를 열린플랫폼에 공개하였고, 게임 보조기기와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관련 업체에서 기술이전을 요청해와 두 업체와 기술이전을 추진하였다. 이를 통해 게임 보조기기와 그림그리기 보조기기가 필요한 사용자들은 직접 제작하는 어려움 없이 원활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

   기술이전으로 게임 보조기기와 그림그리기 보조기기의 오픈소스 제작‧판매에 참여하는 2개 전문업체는 ㈜한국파릇하우스와 ㈜아이에스티솔루션이다. 게임 보조기기는 게임 컨트롤러 전문 제작판매업체인 ㈜아이에스티솔루션을 통해 맞춤형 주문제작이 가능하다. 그림그리기 보조기기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참여하는 예술 활동과 교육 기관인 ㈜한국파릇하우스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. 

 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 “노인․장애인 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단의 열린플랫폼을 통해 그동안 국내에 없었던 다양한 보조기기를 개발하고 보급하였다”라며, “이를 통해 사회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여가․문화․교육이나 일상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이 개선되어 평등한 삶을 누리는데 도움이 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 

https://www.wdn-news.com/ 


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