홈 > 장애인 > 장애인
장애인

선거 관련 정보 제공 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해야

최고관리자 0 7537

 [통합사회] 국가 인권 위원회(기본권 구제 제도) -국가인권위원회란? 국가인권위원회의 업무 및 활동, 국가인권위원회의 구성 및 한계


  국가인권위원회(위원장 송두환이하 인권위’)는 2023년 8월 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

(이하 피진정인’)에게중앙선거관리위원회(이하 피진정기관’) 정책·공약마당 누리집에 게시되

는 선거 관련 정보피진정인이 배포하는 시각장애인을 위하여 책자형 선거공보의 내용을 음

·점자 등으로 출력되도록 전환한 디지털 파일’(이하 시각장애인 접근성 디지털 선거공보’) 및 

해당 디지털 파일이 저장된 유에스비(USB) 메모리(이하 저장매체‘)의 라벨 등과 관련하여장애

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·이용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할 것을 권고하였다.

 

진정인은 시각장애인으로 2022년 6월 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피진정기관의 정책

공약마당 누리집에 게시된 일부 후보자들의 ‘5대공 ’ 피디에프(PDF) 파일시각장애인 접근성

디지털 선거공보시각장애인 접근성 디지털 선거공보의 저장매체 등에 접근할 수 없었는데

는 피진정인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선거공보 등에서 편의 제공을 소홀히 한 것이라며 인권위

에 진정을 제기하였다.

 

이에 대하여 피진정인은피진정기관 정책·공약마당 사이트의 정책·약 등의 자료는 정당과

후보자가 제출한 것을 그대로 게시하는 것으로피진정기관이 임의로 해당 파일을 재가공할 수

없고시각장애인 접근성 디지털 선거공보 또한 피진정기관이 이를 임의로 수정 또는 재가공

하거나 대신 작성할 수 없으며△「공직선거법 65(선거공보11항에 따라시각장애인 접

근성 디지털 선거공보의 제작 주체는 후보자이므로 피진정인은 이 사건에서 차별행위의 주체가

될 수 없다고 답변하였다.

 

인권위 장애인차별시정위원회(소위원회 위원장남규선 상임위원)는 우선피진정인이 이 사건 차

별행위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주장에 대하여피진정인이 정당·후보자가 작성·제출한 선거 관련 

정보를 피진정기관 정책·약 마당 사이트 게시 및 저장매체 발송 등의 방식으로 시각장애인에

게 전달한 것은장애인차별금지 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(이하 장애인차별금지법’) 3조 

8호 가목에서 규정한 배포로 볼 수 있으므로피진정인의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판단

하였다.

 

아울러시각장애인이 정책·공약마당 누리집을 통해 비장애인과 동일하 게 선거 관련 정보에 

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 점시각장애인 입장에서 저장매체가 어느 정당·후보자의 것인지 알수 

없는 경우 정확한 선거 정보가 제공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점더욱이 저장매체에 담긴 파일이 

시각장애인 접근성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저장매체 자체가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는 

점 등에 비추어이 사건 진정에서 시각장애인에게 정당한 편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보

았다. 

 

또한 피진정기관에서시각장애인 접근성이 확보되지 않은 정보에 대하여는 보완 요청 등을 

할 수 있고저장매체를 접수 및 배포하는 과정에서 정당·후보자 이름이 점자 또는 인쇄물 접

근성 바코드로 표기되었는지 여부를 실무상 관리조치할 수 있는 점 등을 종합해보면피진정기

관에게 ‘5대 공약’ 피디에프 파일과 저장매체 속 파일 및 라벨의 시각장애인 접근성을 높이는 데 

지나친 부담이나 뚜렷하게 곤란한 사정이 있었다고도 보기 어려운바, 「장애인차별금법 4조 

3항 제1에 따른 차별의 예외사유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았다.

 

이에 인권위는 피진정인에게시각장애인을 위한 선거공보 등 선거 관련 정보를 제공할 때 장애

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·이용할 수 있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할 것을 권고하였다.


https://www.wdn-news.com/ 


0